만사경영(샤인피플)
HR애널리틱스 박사가 되는 법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은 hr애널리틱스 박사가 되는 벚에 대해 알아봅시다.
개요
HR애널리틱스 박사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건들이 필요합니다:
1. 학력:
- 인사관리, 경영학, 통계학, 심리학, 컴퓨터공학 등 관련 분야의 학사 및 석사 학위
- HR애널리틱스 또는 관련 분야의 박사 학위 (필수)
2. 지식:
- 인사관리 및 조직행동 이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 통계분석, 기계학습, 데이터마이닝 등 데이터 분석 기법 숙지
- 프로그래밍 언어(R, Python 등)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스킬
3. 경험:
- HR데이터 분석, 모델링, 시각화 경험
- HR관련 프로젝트 수행 및 논문 게재 경험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지원 경험
4. 역량:
- 데이터를 통찰력 있게 해석하고 실용적 함의를 도출하는 능력
- 분석 결과를 비전문가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하는 커뮤니케이션 능력
- 현업(HR부서 등)과 원활히 소통하고 협업할 수 있는 관계 구축 능력
- 최신 HR애널리틱스 트렌드를 학습하고 연구하는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
5. 기타:
- HR 데이터 취급과 관련된 높은 윤리의식 및 보안의식
HR애널리틱스는 비교적 새로운 분야이므로 위의 요건들을 모두 갖추기는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HR분야 전문성과 데이터 분석 역량을 겸비하려는 끊임없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입니다. 아울러 HR의사결정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HR애널리틱스 분야의 발전을 선도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정말 중요한 한가지 꼽자면?
HR애널리틱스 박사가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한 가지를 꼽자면, 바로 HR분야와 데이터 분석 분야 양쪽에서의 전문성을 갖추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HR애널리틱스는 인사관리에 대한 도메인 지식과 데이터 분석 스킬의 결합을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추천합니다:
1. 인사관리 및 조직심리 분야의 이론과 연구동향을 깊이 있게 학습하세요.
- 관련 학술지(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Personnel Psychology 등)를 정기적으로 읽는 습관을 들이세요.
- 관련 학회나 세미나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최신 연구동향을 파악하세요.
2. 통계, 기계학습 등 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공부하세요.
- Coursera, edX 등의 온라인 강좌를 활용해 이론적 기초를 다지세요.
- Kaggle 등에서 실전 데이터 분석 과제에 도전해보세요.
- 관련 학술대회(KDD, ICML 등)에 참가해 최신 분석기법을 접해보세요.
3. 실제 HR데이터를 다뤄볼 수 있는 기회를 적극적으로 만드세요.
- 기업 인턴십, 산학과제 등을 통해 현장 데이터 접근 기회를 얻으세요.
- 공개된 HR 데이터셋(Kaggle 등)을 활용해 분석 포트폴리오를 만들어보세요.
- HR관련 학회에서 데이터 분석 논문을 발표하는 것을 목표로 삼으세요.
4. 데이터 분석 결과를 HR의사결정에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세요.
- 데이터 기반 HR의사결정 우수사례들을 깊이 있게 분석해보세요.
- HR매니저 입장에서 분석 결과를 어떻게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을지 고민해보세요.
- 데이터 분석 역량이 HR조직의 성과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을 이론화해보세요.
5. HR, 데이터 분석 양쪽의 전문가들과 활발히 교류하세요.
- 다양한 세미나, 컨퍼런스 등에서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세요.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HR전문가들과 지속적으로 인사이트를 교환하세요.
- 장기적으로는 분야를 융합하는 연구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무엇보다 HR과 애널리틱스라는 두 축을 잇는 통섭적 시각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방대한 HR데이터 속에 감춰진 가치있는 인사이트를 발굴하고, 이를 조직의 의사결정과 성과향상에 활용하는 능력을 갖춘다면 훌륭한 HR애널리틱스 박사로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인사관리 이론과 접목하라!
인사관리와 관련하여 알아야 할 주요 이론적 배경은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동기부여 이론
- Maslow의 욕구단계이론
- Herzberg의 두 요인 이론
- Vroom의 기대이론
- Adams의 공정성 이론
- Locke의 목표설정이론
2. 리더십 이론
- 특성이론
- 행동이론 (Ohio주립대 연구, Michigan대 연구 등)
- 상황적응이론 (Fiedler의 상황적응적 리더십 모델, House의 경로-목표 이론 등)
- 변혁적 리더십이론
3. 조직문화 이론
- Schein의 조직문화 모형
- Quinn과 Cameron의 경쟁가치모형
- Hofstede의 문화차원이론
4. 조직구조 이론
- 관료제 이론 (Weber)
- 상황적응이론 (Burns & Stalker, Lawrence & Lorsch 등)
5. 직무설계 이론
- 직무특성모형 (Hackman & Oldham)
- 직무확대, 직무충실 (job enlargement, job enrichment)
6. 인적자원관리 이론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SHRM)
- AMO 이론 (Ability, Motivation, Opportunity)
- 인적자본이론 (Becker)
7. 조직변화 및 개발 이론
- Lewin의 세 단계 모형 (해빙, 변화, 재동결)
- Action Research 모형
- 조직개발(OD)의 개입기법
8. 산업 및 조직심리학 이론
- 선발 및 검사 이론
- 훈련 및 개발 이론
- 수행평가 이론
위에서 언급한 이론들은 HR애널리틱스 관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조직구성원들의 행동과 성과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이론적 이해는 데이터 분석 과정에서 가설 설정, 변수 선정, 결과 해석 등에 있어 핵심적인 기반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HR관련 이론과 데이터 기반 실증연구를 접목하는 것이 HR애널리틱스 연구의 중요한 방향이 될 것입니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칩니다.
'경영 > H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객관계관리와 가치 중심, 고객중심 경영에 대해 (0) | 2024.05.23 |
---|---|
최근 교육 컨설팅 이슈에 대해 짚어봅시다. (0) | 2024.05.21 |
HR애널리틱스 - 데이터 관리 방법 (14) | 2024.02.17 |
HR애널리틱스 - 조직의 성과목표를 추적하는 법 (14) | 2024.02.14 |
HR컨설팅의 향후 10년 (4) | 2024.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