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사경영(샤인피플)

트럼프 2기, 'Trump Compass' 발동! 세계 경제, 어디로? 본문

증권

트럼프 2기, 'Trump Compass' 발동! 세계 경제, 어디로?

샤인피플 2025. 4. 7. 20:54



자, 여러분! 2025년 4월 3일, 트럼프 2기의 통상 조치, 일명 'Trump Compass'가 발표됐습니다. 지금부터 그 내용을 낱낱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긴장 풀고, 웃음 준비하시고, 함께 가시죠!


---

1. 트럼프의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관세 정책

트럼프 대통령, 이번엔 제대로 칼을 뽑았습니다. 2025년 4월 5일부터 전 세계 모든 품목에 기본 관세 10%를 때리고, 4월 9일부터는 무역 적자가 큰 60개국에 대해선 '상호 관세' 25%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했는데요, 마치 "일단 다 붙여!" 하는 느낌입니다. 한국도 예외는 아닙니다.


---

2. 한국, '억울하면 너도 붙이시던가' 시전!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가 미국의 네 배!"라며 '상호 관세'를 언급했는데, 왠지 억울하죠? 하지만 어쩌겠어요. 일단은 상황을 지켜봐야 할 듯합니다.


---

3. '더티 15'를 아시나요?

미국 재무부 장관 스콧 베센트는 "미국에 관세를 많이 부과하는 '더티 15' 국가들에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마치 불량 학생(?) 15명을 찍어 놓은 듯한 발언인데요, 한국도 이 명단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습니다.


---

4. 예외는 없다! 단, 몇몇 품목 빼고

트럼프 대통령, "전 품목 관세 부과"를 외쳤지만, 예외는 있습니다. 이미 232조 관세가 적용되는 철강/알루미늄, 자동차, 그리고 구리, 제약, 반도체, 목재, 금괴, 미국에서 쓸 수 없는 에너지 및 특정 광물은 이번 관세 폭탄에서 제외됐습니다.


---

5. 울산, '멘붕' 직전

울산 수출, 비상이 걸렸습니다. 특히 대미 수출은 울산 수출의 26.6%를 차지하는 핵심 시장인데, 25% 상호 관세 부과는 59억 달러에 달하는 추가 관세 부담을 안길 수 있습니다. 울산, 어쩌면 '수출 멘붕' 사태에 직면할지도...


---

6. 중국, '맞짱' 선언

중국도 가만있지 않습니다.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도 미국산 석탄, LNG 등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고, 미국 구글을 상대로 반독점법 위반 조사까지 벌이고 있습니다.


---

7. 캐나다·멕시코, '우리 USMCA 맞잖아!'

캐나다와 멕시코는 USMCA를 믿고 있었지만, 트럼프의 관세 폭탄 앞에선 속수무책입니다. USMCA 준수 상품은 0% 관세지만, 그 외 상품엔 최고 25% 관세! "우리 친구 맞잖아..."


---

8. EU, '우리도 만만치 않아'

EU도 트럼프의 관세에 맞서 보복 관세를 예고했습니다. 특히 철강 수입 제한은 한국 수출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우리도 한 성깔 한다!" EU의 반격, 주목해봅시다.


---

9. 자동차 업계, '전기차는 이제...'

트럼프 대통령, 전기차 의무화를 폐지하고, 가솔린차 규제를 완화했습니다. 전기차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며 업계는 긴장 중입니다.


---

10. 조선업계, '뜻밖의 호황?'

미국의 중국 선박 제재 강화로 한국 조선업계에 반사이익 가능성! 특히 군함 건조에서 한국의 경쟁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11. 철강업계, '우리 어떡해...'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활로, 현대차 울산공장 등 국내 철강업계가 긴장 중입니다. 당장 타격은 없지만 장기적 영향은 불가피할 듯합니다.


---

12. 2차 전지 업계, 'LFP로 갈아타자!'

중국산 배터리 공세와 전기차 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 국내 배터리 업계는 LFP 중심으로 전략 수정에 들어갔습니다.


---

13. 반도체·제약업계, '우린 아직 괜찮아'

이번 관세 리스트에 반도체와 의약품은 빠졌습니다. 일단은 안도 분위기지만, 트럼프 스타일상 방심은 금물입니다.


---

14. 결론: '트럼프발 무역 전쟁', 우리 모두 정신줄 꽉 붙잡읍시다!

트럼프 2기의 'Trump Compass'는 전 세계에 거대한 파도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닙니다. 정부와 기업 모두 긴밀히 협력해 이 위기를 슬기롭게 헤쳐나가야 할 때입니다. 우리 모두 힘냅시다!



반응형